2.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령(A to Z) 따라하기

안녕하세요 포봄스 입니다.

직장 생활을 1년 이상 하셨다면 누구나 퇴직금을 받으셨을텐데요.

법 개정 이후 300만원 이상은 IRP 계좌로 받아야합니다.

IRP 계좌로 ETF, 채권, 예금 등으로 퇴직연금을 불려서 노후에 수령시 절세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계좌인데요.

회사를 여러번 이직하셨더라도, 한 곳에 퇴직연금을 모아 꾸준히 투자에 성공 했을 경우 좋은 수익을 낼 수도 있겠지만, 당장 목돈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또한 결혼, 차량구매 등으로 퇴직연금을 해지하여 받아야 할 것 같은 상황에 놓여 있는데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퇴직연금 계좌 개설을 다뤄봤었습니다.

신한은행 퇴직연금 IRP 계좌 개설 따라하기(PC, 모바일)

오늘은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령 방법을 가이드 해보겠습니다.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먼저, 기업은행 IRP 계좌를 개설 하고 퇴사한 회사에 전화를 걸어 회사 계좌로 받고 있던 퇴직연금을 이체 받았다고 가정 하겠습니다.

퇴직연금 가입 완료창

 

이제 퇴직연금 계좌(IRP)를 해지해주셔야 되는데요.

여기서 우리가 절세할거라 예상 했던 것과 반대로 절세받은 세금(16.5%)을 납부한 후 금액을 받게 됩니다. (실수령이 작아진다)

*간략한 절차

퇴직연금 절차

1. IBK 기업은행 어플 실행

IBK 기업은행 어플

 

 

2. 뱅킹 > 퇴직연금관리 > 개인형 IRP 해지

IRP 해지

 

3. 퇴직금 확인 후 입금 계좌 입력

퇴직연금 해지 절차 1

 

 

4. 안내사항 확인

퇴직연금 안내사항

위에서 말씀드린 세금 16.5%를 제외한 남은 부분을 받게 됩니다.

여기서 세금 납부에 대해 아까워 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 있는데, 이것은 원래 내야할 돈으로 크게 아까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지 정부에서 퇴직 후 받으면 절세를 해주려는 목적이었습니다.

당장 필요한 돈이 아니라면,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절세를 하며 투자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당연히 세액공제를 위해 추가납입(퇴직금으로 받은 돈이 아닌) 개인적으로 추가 납입하여 투자하던 금액까지 절세혜택을 받았으므로 기타소득세 16.5%가 과세 됩니다.

이렇게 퇴직연금 해지 신청이 끝났으며, 영업일 1일 이후 입력한 계좌로 퇴직금이 입금 됩니다.

 

5. 해지 진행 내역 조회

 

해지 진행 내역 조회

 

마지막으로 메인화면에서 뱅킹 > 퇴직연금관리 > 해지진행내역 조회를 통해 해지가 잘 됐는지 확인 해보세요.!

 

이렇게 기업은행 IRP 퇴직연금 수령 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근속년수에 따라서 퇴직연금 액수가 다르실테니, 본인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곳에 신중히 퇴직연금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어렵고, 길게 모은 만큼 소중하니까요.

 

Leave a Comment